1.수목
나무의 정의
수목-살아있는 나무
임목-숲을 이루고 있는 나무
목본식물(형성층에 의한 2차생장→ 직경증가→나이테)
교목-4m이상 단일 수간
관목-4m이하 여러개 줄기
만경목-감고 올라가는 나무
나무의 특징(목본의 특징)
형성층에 의한 직경생장→견고한 수간→크게 자람
증산작용(에너지 소비X )→무기양분/수분 이동
생식생장(개화/결실)→많은 에너지 소비X
환경에 대한 저항성 有
2.목본식물 분류
국내 목본식물 분류 |
|
종자식물을 생식기관 모양에 따른 분류 |
나자식물-종자가 노출 피자식물-종자가 자방속에 有 단자엽(외떡잎)식물 -초본류 -목본류:대나무류, 청미래덩굴류 쌍자엽(쌍떡잎)식물 |
잎의 모양에 따른 분류 |
침엽수 활엽수 |
목재의 성질에 따른 분류 |
목재의 비중에 따라 침엽수재(가벼움) 활엽수재(예외 오동나무-가벼움) |
낙엽성에 따른 분류 |
상록수 낙엽수 |
국내 소나무속 분류 |
|
소나무류 잎의 유관속 2개 |
엽속내의 잎의 수 - 소나무 2개 -리기다소나무 3개 아린은 잎이 질 때까지 有 비중이 높고 춘재와 추재의 전이→ 급변 종류 소나무, 테다소나무, 방크스소나무, 곰솔 리기다소나무 |
잣나무류 잎의 유관속 1개 |
엽속내의 잎의 수 - 백송 3개 / 잣나무 5개 첫해 아린탈락 비중이 낮고 춘재와 추재의 전이 → 점진적 종류 잣나무(섬잣나무 / 스트로브잣나무) 백송 |
3.수목의 구조
영양기관 / 생식기간 / 수관 / 수간 / 근계
조직의 분류 |
|
표피조직 | 표면보호/수분증발억제-표피층/털/기공 |
코르크조직 | 표면보호/수분증발억제(표피대신)-코르크층/코르크 형성층/ 수피 / 피목 |
유조직 | 분열/생장/저장등 원형질의 살아있는 조직-살아있음을 상징는 유세포 |
후각조직 | 지탱(어린목본식물)- 특수형태 유세포-엽병/엽맥/줄기 |
후막조직 | 지탱(두꺼운 세포벽)- 호두껍질/섬유세포 |
목부조직 | 지탱/수분통도- 도관/가도관/ 수선/ 춘재/추재 |
사부조직 | 지탱/탄수화물 이동/코르코형성층의 기원- 사관세포/반세포 |
분비조직 | 점액 고무질 수지 분비- 수지구 /선모 / 밀선 |
잎 |
|
기능 | 광합성/증산/교환/환경변화감지→ 대사활동 활발 엽육 조직 / 1차 목부 / 1차 사부의 기본 구조 |
구조 |
피자식물 엽신-각피- 큐티클층 / 수분증발억제 표피- 상표피(햇빛받는 위)/하표피(아래) 엽육조직-상표피와 하표피 사이 / 엽록체 다량함유 책상조직- 상표피 바로아래 길게 규칙적으로 촘촘 배열 엽록체 집중 →광합성 활발 → 더 녹색 해변조직-책상조직 바로 아래 불규칙 간격→이산화탄소 확산이 용이 엽맥- 엽육조직 사이에 위치 상표피쪽 위치- 1차목부:수분이동 하표피쪽 위치- 1차사부: 탄수화물이동 |
나자식물 소나무류- 책상조직과 해면조직 미분화 -외표피/내표피 이중구조 - 유관속 2개 잣나무류 – 책상조직과 해면조직 분화 - 유관속 1개 (중앙) |
|
기공 |
- 2개의 공변세포에 의해 만들어진 구멍 - 증산 - CO2흡수/O2방출 단풍나무(가장작음) / 은행나무(가장큼) 밀도와 크기는 반비례 잎 표면적의 1% (자유수면 증발량의 약50% ) 피자식물- 하표피에만 분포 (단 포플러는 양면) 나자식물- 공변세포가 반족세포보다 깊게 위치→ 증산억제 |
눈 |
|
정의 | - 아직 자라지 않은 잎 가지 끝의 왕성한 세포분열 조직 (정단분열 조직) |
분류 | 가지 위치에 따라 정아 / 측아 / 액아 ( 대와 잎사이 겨드랑이에 위치) → 동아 or 잠아 남음 형성시간에 따라 부정아- 수목의 오래된 부위(눈이 없는 곳)→ 불규칙 형성 잠아 - 휴면상태 눈→ 맹아지 자람 함유조직에 따라 엽아 / 화아 / 혼합아 수목 전체의 위치에 따라 주맹아 -지상 그루터기 근맹아- 지하 뿌리 삽목시 형성→ 부정아 일종 |
줄기1 |
|
수피 | 형성층 바깥에 있는 모든 조직 외수피- 맨바깥 /죽은조직 / 나이먹으면 깊게 파임 내수피 크로크조직(주피)- 안쪽부터 코르크 피층→ 코르크 형성층→ 코르크 층 코르크 형성층- 방수성이 강한 코르크 생산/분열 사부조직- 2차사부(1차사부:잎유관속) - 형성층에 의해 매년 만들어짐 - 잎→뿌리(설탕운반) - 죽은 조직은 밖으로 밀려나 수피로 벗겨짐→ 직경을 굵게 하지 못함 |
형성층 | 측방분열조직(직경을 증가시키는 분열조직)→ 코르크 형성층/유관속 형성층 바깥- 2차사부 / 안쪽- 2차목부 만듬→ 직경 생장 나이테 형성 직경의 굵기와 상관없이 수피의 맨 안쪽과 나이테의 맨 바깥쪽 위치 수피가 손상→ 유상조직을 생성→ 수피재생 |
줄기2 (목부) |
형성층 안쪽에 있는 모든조직→ 주로 수분이동과 탄수화물저장(변재) 1차목부- 잎의 유관속 안에 있는 목부(초본/목본 모두 존재) 2차목부- 형성층에 의해 만들어지는 목부(목본만 존재) 변재- 수피 바로 안쪽 옅은 색 부분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짐→ 수분 함량 높음 도관 / 가도관 / 목부섬유 구성 위쪽→ 수분이동 / 탄수화물 저장 심재- 목부 중앙→ 오래 전 만들어 짐→ 기름/송진/타닌등 축적→짙은 색 기계적 지지 역할→ 생리적 역할없다 방어능력 없음→ 부패 쉬움 수선조직 목부의 횡단면 중앙에서 방사선 방향으로 뻗는 가느다란 줄 모양의 조직 살아있는 세포인 수선유세포로 구성 탄수화물을 전분 형태로 저장 구획화 기작 작동 나이테(연륜) 춘재- 봄철에 형성된 목부조직 세포의 지름이 크고 세포벽이 얇음 / 비중 낮음 추재- 여름과 가을에 만들어진 목부조직 춘재와 반대 나이테- 춘재와 추재의 경계선 목재조직의 구조 피자식물과 나자식물의 목재 구성 피자식물의 목부조직 구분 환공재- 춘재도관 지름 > 추재도관 지름 → 지름이 큰 도관 춘재에 집중→ 환상배열 참나무 음나무 산공재- 춘재도간지름 = 추재도관지름 → 나이테 전체에 골고루 산재 단풍나무 피나무 반환공재- 춘재에서 추재로 바뀌면서 도관의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짐 가래나무 호두나무 도간/가도관 – 수분이동 / 내용물이 없는 죽은 세포 가도간- 침엽수 직경 小 길이 短 수분이동 매우 느림( 끝이 막혀 막공을 통해 이동) 도관- 활엽수 직경 길이 수분이동 쉽고 빠름 (파이프처럼 연결) |
뿌리 |
||
특징 | 기능 | 고정/흡수(수분,양분)/저장(탄수화물) |
발달형태 | 유전형질유지보다 토양환경에 따라 발달 유모시절(유전형질) 배수 잘됨/건조한 토양→ 직근 깊게 발달 배수 불량/습한 토양 → 측근이 얇게 퍼짐 수관폭에 비례 / 소관폭 보다 넓게 펴짐 세근은 표토에 집중 |
|
분류 | 직근 | 종자에서 처음 발달한 굵은 뿌리 참나무→ 첫해 직근만 가짐 |
장근 | 계속 길게 자라는 뿌리 수평근 - 수평방향 개척근 – 새로운 지역 / 비교적 굵은 뿌리 모근 - 여러개 갈라짐 →토양 접촉면적 확대 비교적 가는 뿌리 |
|
세근(단근) | 더 이상자라지 않고→ 1년 정도 삶 수분/무기양분→ 흡수(짧은 뿌리) |
|
뿌리털 | 표피세포가 변형→ 길게 자란 것 뿌리 끝 바로 뒤에 신장생장 부분이 있음 표면적 확대→ 무기염/수분 흡수 |
|
구조 | 어린뿌리 | 1차목부/1차사부有→ 형성층無(잎 구조와 유사) 뿌리골무→ 정단분열조직 보호 /굴지성 유도 무시겔(토양뚫음 윤활제)-탄수화물 일종 |
성숙뿌리 | 어린뿌리표피→ 수베린 축적→ 목전화 진행 2차목부/2차사부 생성→ 굵어짐 수분보다 수간 지탱 기능으로 변화 |
生死 조직 |
||
살아 있는 조직 |
유세포 | 원형질을 가지고 있는 살아있는 조직 세포분열/광합성/호흡/물질이동(수분제외)/생합성/ 무기염류흡수 증산작용등의 대사활동 담당 |
유세포가 모여 있는 조직 |
잎/눈/꽃/열매/형성층/세근/뿌리끝 표피세포/주피/사부조직/방사조직/분비조직 |
|
원형질 연락사 | 이웃하는 유세포는 원형질의 작은 구멍으로 연결 → 세포 사이 통신과 전달 가능 |
|
죽어 있는 조직 |
지지조직 보호조직 통도조직 |
나무가 커질수록→ 죽어있는 목부조직의 비율이 커짐 → 에너지 소모 최소화 |
'수목생리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.나무 이야기(지질의 기능/목본 식물 내 지질의 종류/수목 내 지질의 분포와 변화) (0) | 2022.01.21 |
---|---|
1.나무 이야기(질소의 체내 분포와 변화/질소 고정과 순환) (0) | 2022.01.20 |
1. 나무 이야기 (광호흡 / 광합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/ 호흡) (0) | 2022.01.04 |
1.나무이야기 ( 광주기 / 주광성 / 굴지성 / 광합성 ) (0) | 2022.01.02 |
1.나무 이야기( 수목생장 - 수고생장,직경생장, 뿌리생장) (0) | 2021.12.31 |